테메라리오 기반 최초 레이스카 ‘테메라리오 GT3’ 세계 최초 공개

  • 등록 2025.07.14 14:14:16
크게보기

테메라리오 기반 첫 모터스포츠 전용 모델, 브랜드 최초 본사 설계·개발·제작 GT3 레이스카
4.0L V8 트윈터보 엔진 기반, GT3 규정에 맞춘 엔진 재설계 및 경량 스페이스 프레임 적용
탄소복합소재 바디워크와 신규 서스펜션 등 경기 운영 최적화된 구조 설계
2026년 세브링 12시 레이스 통해 글로벌 데뷔 예정, 기존 고객팀 전환도 지원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Automobili Lamborghini)가 테메라리오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레이스 전용 모델테메라리오 GT3’를 선보이며 브랜드의 모터스포츠 미래를 본격적으로 열었다.

 

람보르기니는 7 11(현지시간)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테메라리오를 기반으로 한 첫 번째 GT3 레이스카테메라리오 GT3’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해당 모델은 설계부터 개발, 제작까지 전 과정을 산타가타 볼로냐 본사에서 직접 수행한 브랜드 최초의 레이스 전용 차량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테메라리오 GT3는 브랜드의 두 번째 HPEV(High Performance Electrified Vehicle) 슈퍼 스포츠카인 테메라리오의 설계 초기부터 모터스포츠 파생 모델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차량으로, 람보르기니의 레이싱 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 차세대 GT3 레이스카다.

 

차량은 기존 테메라리오의 알루미늄 스페이스 프레임 섀시를 기반으로 레이스 환경에 맞춘 경량화와 구조적 개선을 거쳤다. 파워트레인은 4.0L V8 트윈터보 엔진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GT3 레이스 규정에 따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거하고 터보차저 구성 요소를 새롭게 설계해 트랙 환경에 최적화된 퍼포먼스를 발휘한다.

 

람보르기니의 모터스포츠 부서 스콰드라 코르세(Squadra Corse)와 디자인 센터 센트로 스틸레(Centro Stile)의 협업을 통해 완성된 외관 디자인은 람보르기니 특유의 강렬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공기 흐름, 냉각 성능, 다운포스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차체는 탄소복합소재로 제작되어 무게를 줄였으며 레이스 현장에서의 빠른 수리와 정비를 고려해 전·후면 바디 파츠를 모듈형 구조로 구성해 신속한 탈부착이 가능하다.

 

인테리어는 람보르기니 팩토리 드라이버인 마르코 마펠리(Marco Mapelli)와 안드레아 칼다렐리(Andrea Caldarelli)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레이스 중 조작 편의성을 극대화한 인체공학적 설계와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었다.

 

스테판 윙켈만(Stephan Winkelmann)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회장 겸 CEO테메라리오 GT3는 테메라리오 프로젝트의 첫 번째 레이싱 파생 모델로, 람보르기니의 모터스포츠에 대한 신념과 철학을 상징한다우라칸 GT3 프로젝트의 성공 이후, 테메라리오 개발 초기부터 레이싱 파생 모델을 염두에 두고 있었고, 테메라리오 GT3는 향후 글로벌 GT3 무대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루벤 모어(Rouven Mohr)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최고기술책임자(CTO) 테메라리오 GT3는 공기역학 효율, 파워밴드, 정비 용이성 등 모든 면에서 레이스 현장을 고려해 설계됐다기존보다 넓은 작동범위를 통해 다양한 서킷 환경과 조건에서도 일관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개발됐으며, 주행 감각 또한 향상됐다고 강조했다.

 

테메라리오 GT3 GT3 무대 데뷔를 앞두고 본격적인 레이스 준비에 돌입했으며, 2026년 미국 세브링 12시즌 레이스(Sebring 12 Hours)를 통해 데뷔전을 치를 예정이다. 람보르기니는 전환기를 맞은 고객팀들이 테메라리오 GT3로 원활히 전환할 수 있도록 기존 우라칸 GT3 팀들에 대한 기술 지원도 지속할 계획이다.

 

레이싱을 위한 설계, 더욱 가볍고 정비가 쉬운 차체 구조

테메라리오 GT3는 양산형 테메라리오의 알루미늄 스페이스 프레임을 기반으로 경량화와 정비 편의성을 극대화하도록 새롭게 설계됐다. 레이스 중 빠른 부품 교체가 가능하도록 전후 서브프레임은 탈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후면 프레임은 엔진과 새 트랜스미션 탑재를 위해 람보르기니 모터스포츠 부서 스콰드라 코르세가 전용 설계를 적용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빠지면서 관련 마운트는 모두 제거됐고 중앙 구조에는 FIA GT3 기준을 충족하는 롤케이지가 통합됐다.

 

차체는 탄소복합소재를 사용해 무게를 극단적으로 줄였으며, 공기 흐름과 냉각 성능, 다운포스 균형까지 세심하게 고려해 설계됐다. 모든 바디 파츠는 레이스 현장에서 빠르게 교체할 수 있도록 모듈화됐으며 전·후면은 각각 일체화 구조로 제작되어 수리 효율을 높였다. 디퓨저, 엔진 커버, 보닛은 빠른 탈거가 가능하게 설계되었고, 전조등에도 퀵 커넥터 시스템을 적용해 유지보수를 간소화했다. 하부는 총 4개의 파트로 구성되며 중앙 파트는 차량이 공중에 띄워진 상태에서도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GT3 규정에 최적화된 고성능 V8 트윈터보 엔진

테메라리오 GT3는 양산형과 동일한 4.0L V8 트윈터보 엔진을 기반으로 하지만, GT3 레이스 규정에 따라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제거되었으며, 터보차저와 컴프레서 유닛은 완전히 새롭게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최대 약 550마력의 성능을 발휘하며(Balance of Performance, 성능 균형 조정 규정에 따라 출력 조정), 고회전 영역에서도 안정적인 출력과 응답성을 유지한다.

 

플랫플레인 크랭크샤프트와 티타늄 커넥팅 로드 등 핵심 레이스 기술이 그대로 반영되었고 열관리와 반응성을 고려해 흡기 시스템과 카프리스토에서 제작한 배기 라인도 새롭게 구성되었다. 페르타미나 파스트론 레이싱 오일을 사용하는 이 엔진의 보어, 스트로크, 냉각 방식, 드라이섬프 윤활 방식 등 기본 구조는 양산형과 동일하다.

 

모터스포츠 환경을 고려한 휠·서스펜션·조향 시스템

테메라리오 GT3는 전작 대비 휠베이스와 전 트레드가 모두 넓어져 고속 코너에서도 안정감을 극대화했다. 서스펜션은 람보르기니 LMDh 프로젝트 ‘SC63’에 사용된 KW사의 신형 6웨이 댐퍼가 적용됐으며 카본 인서트 없이 플레이트 방식으로 체결돼 경량화 효과도 뛰어나다.

 

피트인 상황에서 빠르게 셋업 변경이 가능하도록 서스펜션 교체 구조도 간소화됐다. 타이어는 로널(Ronal AG) 18인치 휠에 장착되며 다양한 글로벌 GT3 규정 타이어 브랜드와 호환되도록 설계됐다. 스티어링 시스템에는 유압식 전용 스티어링 랙을 적용해 다양한 타이어 및 서스펜션 세팅에서도 안정적인 조향 성능을 유지한다.

 

팩토리 드라이버 참여로 완성된 인체공학적 콕핏 설계

운전석 구성은 람보르기니 팩토리 드라이버인 마르코 마펠리와 안드레아 칼다렐리의 실전 피드백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주행 중에도 빠르게 조작할 수 있도록 모든 인터페이스가 인체공학적으로 배치되었다.

 

다기능 스티어링 휠과 신규 버튼 구성, 고성능 데이터 로거와 전자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었으며, 전장 소프트웨어는 람보르기니가 직접 커스터마이징해 조작성과 차량 통제력을 더욱 끌어올렸다.

 

2026년 세브링 12시 데뷔, 우라칸 GT3 고객팀 전환도 지원

테메라리오 GT3는 현재 개발의 마지막 단계를 거치고 있으며 오는 2026년 미국에서 열리는 IMSA 모빌1 세브링 12(Sebring 12 Hours) 레이스에서 첫 데뷔전을 치를 예정이다. 람보르기니는 향후 글로벌 GT3 시리즈에 참가하는 고객팀을 위한 기술 지원을 본격화할 예정이며 기존 우라칸 GT3 EVO2 고객팀에 대해서도 순조로운 차량 전환을 위한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덕진 기자 trucktimes@naver.com
Copyright @2011-2020 The Trucktimes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의 판권은 트럭타임즈가 보유하며 발행인의 허가 없이는 기사나 사진의 무단 전재, 복사를 금합니다. (우)152-880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1131-8 태천대 1009호 TEL : 02-861-6300(대표) FAX : 02-861-6301 상호명 : (주)트럭타임즈 발행인/편집인 : 최영두 등록번호: 서울특별시 Copyright ⓒ 2011-2020 트럭타임즈.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truck21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