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에 신규 등록된 상용차는 21,838대로 나타났으며 전월 대비 4.9% 감소했지만 크게 의미있는 수준은 아니다. 국산과 수입 상용차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국산의 경우 다소 감소했지만 수입은 약간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국산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대우사용차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등록대수가 전월 대비 감소했지만 흐름으로 보면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국산 모델별 등록대수를 확인해보면 봉고 3 EV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크게 눈에 띈다. 포터2 ev보다 200여만원 저렴한 것이 영향을 미치는 듯하다. 전기 트럭의 경우 아직까지 출고 가격이 비싸서 보조금 여부에 따라 판매량이 달라지는데 정부의 지속적인 보조금 지원 정책으로 전기 트럭의 판매가 꾸준한 것을 알 수 있다. 정부가 올 해 하반기에도 보조금을 책정했고 내년에는 보조금을 일부 줄이는 대신 대상은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적인 상용차 수입 브랜드사 등록대수가 조금씩 증가했다. 특히 스카니아는 전월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나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수입 모델별로 확인해보면 스카니아의 전체 등록대수를 견인한 것은 S 시리즈였다는 것을 알 수있다. 스카니아는 대형트럭 라인업에서 선호
기아자동차㈜는 26일 서울 양재동 기아자동차 본사에서 컨퍼런스콜로기업설명회(IR)를 열고 2020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기아자동차는 2020년 3분기경영실적이 ▲매출액 16조 3,218억원(전년 동기 比 8.2%↑) ▲영업이익 1,952억원(33.0%↓) ▲경상이익 2,319억원(48.0%↓) ▲당기순이익 1,337억원(59.0%↓) 등으로집계됐다고 밝혔다. (IFRS 연결기준) 기아자동차 관계자는 3분기 실적과 관련해 “주요 국가들의 봉쇄 조치완화에도 여전히 코로나19 영향이 이어져 전체 판매는 감소했으나,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하며 주요 지역에서 점유율 확대를 기록했다”며 “대규모 품질비용이 발생했지만 상품성을 인정받은 고수익 신 차종 및 RV 판매 비중 확대와 고정비 축소를 위한 전사적 노력으로 영업이익 감소를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기아자동차의 올해 3분기(7~9월) 판매는 ▲국내에서 전년 대비 3.2% 증가한 13만 6,724대 ▲해외에서 전년 대비 1.3% 감소한 56만 2,678대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0.4% 감소한 69만 9,402대를 기록했다. (이하 도매 기준) 국내 시장은 K5ㆍ쏘렌토의 안정적인 판매에 더해
현대자동차(주)가 26일(월) 서울 본사에서 2020년 3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2020년 3분기 실적이 IFRS연결 기준 ▲판매 99만 7,842대 ▲매출액 27조 5,758억원(자동차 21조 4,865억원, 금융및 기타 6조 893억원)▲영업손실 3,138억원 ▲경상손실 3,623억원▲당기순손실 1,888억원(비지배지분 포함)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3분기 경영실적과 관련, “판매는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지난 2분기 대비 주요 국가들의 봉쇄조치 완화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코로나19의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역성장세를 이어가 감소했다"라며"영업이익은 3분기 엔진 관련 충당금이 큰 규모로 반영돼 적자전환 했다"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2020년 3분기(7~9월) 글로벌 시장에서 99만 7,84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9.6% 감소한 수치다. (※ 도매판매 기준) ▲국내 시장에서는 코로나19 영향 지속에도 불구하고 개별소비세 인하연장에 따른 수요 회복과 GV80, G80, 아반떼 등 신차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21.9% 증가한 19만 9,051대를판매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중국, 인도 등
쌍용자동차가 지난 9월 내수8,208대, 수출 1,626대를 포함 총 9,834대를 판매했다고 5일 밝혔다. 이러한 실적은 대비 22.5% 증가한 것으로 7월 이후 2달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며 9천대 수준을 회복한 것이다. 내수판매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수요위축 상황에도 불구하고 온,오프라인대상으로 한층 공격적인 판촉활동 확대를 통해 전월 대비 20.8% 증가하는 등 지난 7월 이후 2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렉스턴 스포츠 다이내믹 에디션 등 3개의 스페셜 모델이 비대면출시 마케팅 활동 효과로 시장에서 호평을 얻으며 판매 회복세를 이끌었다. 지난 6월 이후 3개월연속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수출 역시 주요 시장의 경제 활동 재개 추세에 따라 전월 대비 31.7%의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뚜렷한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됨에 따라 쌍용자동차는 무엇보다 위축된 수출시장 회복을 위해 온라인 론칭 등 비대면채널을 확대하는 한편 글로벌 네트워크 재정비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장에 대비하고 있다.
9월 신규로 등록된 상용차가 22,970대로전월 대비 33.1% 증가율을 보이며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국산 상용차 브랜드 모두 전월 대비 등록대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기아와대우상용차의 등록대수가 큰 폭의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국산 모델별로 살펴보면 봉고3 트럭 등록대수가 전월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는데 기아의 상용차 등록대수를 크게 늘리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의 포터2 일렉트릭과 기아의 봉고3 EV의 전기 상용차도 9월에 많은 등록대수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정부와 지자체의 전기 트럭 보급 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상용차 수입 브랜드도 전체적으로 등록대수가 늘어났다. 볼보가 압도적으로1위이지만 스카니아와 벤츠의 등록대수도 크게 늘어났다. 상용차 모델별로 살펴보면 벤츠의 악트로스가 신차 출시 영향으로 큰 폭으로 등록대수가 늘어났다. 다른 모델들도 등록대수가 크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백로의 일레누스가 순위에 새롭게 등장했는데 중국회사가 제작한 전기버스로 성남시에서 시내버스에 투입했다. 9월 상용차 등록대수가 전월 대비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으며전년 동월 대비에서도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올해
현대자동차는 2020년 9월국내 6만 7,080대, 해외 29만 3,682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36만 762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33.8% 증가, 해외 판매는 11.2% 감소한 수치다 현대자동차는 9월 국내 시장에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3.8% 증가한 6만 7,080대를판매했다. 세단은 그랜저가 1만 1,590대팔리며 국내 판매를 이끌었고, 이어 아반떼 9,136대, 쏘나타 4,589대 등 총 2만 5,916대가 팔렸다. RV는 팰리세이드 5,069대, 싼타페 4,520대, 코나 3,109대, 투싼 2,196대등 총 1만 6,930 대가 팔렸다. 상용차는 그랜드 스타렉스와 포터를 합한 소형 상용차가 1만 1,815대 판매를 기록했고, 중대형 버스와 트럭을 합한 대형 상용차는 2,128대가 팔렸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가6,040대 팔리며 판매를 이끌었고, 이어 GV802,918대, G90 882대, G70 451대판매되는 등 총 1만 291대가 팔렸다. 현대자동차는 9월 해외 시장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1.2% 감소한 29만 3,682대를판매했다.해외시장 판매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기아자동차가 2020년 9월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5만 1,211대, 해외 20만 8,812대등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한 26만 23대를 판매했다. (도매 판매 기준)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21.9% 증가, 해외는 7.7% 증가한 수치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3만3,999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3만 1,144대, K5(옵티마)가 2만 5,365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자동차는 2020년 9월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21.9% 증가한 5만 1,211대를 판매했다.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카니발(1만 130대)로 기아자동차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승용 모델은 K5 7,485대, 모닝 2,437대, K7 2,344대, 레이 2,294대 등 총 1만 7,275대가판매됐다. 카니발을 포함한 RV 모델은 쏘렌토 9,151대, 셀토스 3,882대등 총 2만 7,707대가 팔렸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6,013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총 6,229대가 판매됐다. 기아자동차의 2020년 9월해외 판매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한 20만 8,812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실적은 스포티지가 3만
8월 신규 상용차 등록대수가 17,262대로집계되었으며 전월 대비 7,371대가 줄어들어서 무려 29.9%가감소하였다. 국산 상용차 등록대수는 16,639대를 기록하여 전월 대비 30.3% 감소하였고 수입 상용차는 623대로 19.2% 감소하였다. 소형 화물차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산 상용차등록대수가 훨씬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국산 브래드별로는 전월과 비교하여 큰 순위 변동은 없다. 그러나 전반적으로전월 대비 등록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국산 모델별로는 대부분 등록대수가 감소했으나 현대의 포터2 전기트럭의등록대수가 크게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보조금 지원이 활발해진 것이 영향을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수입 브랜드별 등록대수 순위에서는 지난 달 4위였던 스카니아가 2위로 올라섰다. 볼보와 스카니아는 전월 대비 등록대수가 늘어났다. 스카니아와 벤츠가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 선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입 모델별로는 볼보의 FH와 스카니아의 R 시리즈의 등록대수가 크게 늘어나서 브랜드 등록대수 증가량을 이끌었다. 8월 상용차 등록대수가 7월대비 크게 하락했지만 전년도 흐름과 비교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
기아자동차가 2020년 8월 국내 3만 8,463대, 해외 17만 8,482대등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21만 6,945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11.3% 감소, 해외는 3.7% 감소한 수치다. 국내 판매의 경우 화성공장 일부 라인 재편 공사로 인한 공급물량 감소 등으로 판매량이 감소했다. 승용 모델은 총 1만 4,645대의판매를 기록했고 RV 모델은 총 1만 9,770대가 팔렸다. 상용 모델의 경우 총 4,048대의 판매량 중 3,996대가 봉고Ⅲ이다. 기아자동차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악화로 하반기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지만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지난달출시한 4세대 카니발과 하반기 출시 예정인 쏘렌토 가솔린 2.5 터보모델 등 경쟁력 있는 신차를 앞세워 어려움을 돌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2020년 8월국내 5만 4,590대, 해외 25만 8,400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31만 2,990대를 판매했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3.2% 증가, 해외 판매는 17.1% 감소한 수치다. 국내의 경우 세단 2만 1,047대, RV 1만 5,599대, 상용차1만 882대, 프리미엄브랜드 7,062대가 팔렸다. 특히 그랜저 판매 대수가 1만235대로 판매를 주도했다. 상용차의 경우 소형 상용차가 9,069대의 판매량을 기록하여전월 대비 33.5% 감소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을 더한 대형 상용차는 1,813대가 팔려서 전월 대비 18.4% 감소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악화로 하반기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각 지역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부정적인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힘쓰는 등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상용차 7월 신규 등록대수 24,633대를기록하여 전월 대비 6.7% 증가하였다. 코로나 여파로 위축되었던상용차 등록대수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년도 동월과 비교해서 등록대수는 거의 비슷하나전년 동월 증감률과 비교하면 올해 7월에 증가 폭이 조금 더 높은 편이다. 2020년07월 (당월) 2020년06월 (전월) 전월 증감 전월 증감률 2019년07월 (전년 동월) 전년 동월 증감 전년 동월 증감률 2020년 누적 24,633 23,077 1,556 ▲6.7% 24,135 498 ▲2.1% 146,708 <상용차 신차등록 대수 - 데이터 제공: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국산 상용차 등록대수는 23,862대를 기록하여 전월 대비 7.2% 증가한 반면 수입 상용차는 771대를 기록하여 전월 대비 6.1% 하락하였다. 구분 07월 (당월) 06월 (전월) 전월 증감 전월 증감률 2019년07월 (전년 동월) 전년 동월 증감 전년 동월 증감률 2020년 누적 국산 23,862 22,256 1,606 ▲7.2% 23,335 527 ▲2.3% 141,749 수입 771 821 -50 ▼6.1% 800 -29 ▼3.6% 4,959 <상용차
2020년 상반기 전기화물차와 전기버스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화물차는 성능이 향상되고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 양산형 모델이 출시와 화물차 운송사업허가 혜택 등의 영향으로판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상반기에 5,031대가 판매되었는데전년대비 무려 33,440% 증가한 것으로 전체 전기차 시장 확대를 견인했다. 전기버스는 지자체의 친환경 버스 전환정책이 추진되면서 보조금 규모가 크게 늘어나 전년대비 64.5% 증가한 181대가 보급되었다. 전기승용차는 대당 보조금 축소와 개인완속충전기 보조금 일몰 등 보급 환경이 나빠졌고 신모델 출시도 지연되면서국내 제작사 판매가 전년대비 43.1% 급격히 감소하여 수입차 판매가 564.1% 증가하였음에도 전체 판매는 전년대비 2.7% 감소한 16,359대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전기화물차의 폭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승용차 판매 감소로 전체 판매가2.9% 감소했으며, 기아차 또한 승용차 판매가 전년대비54.6% 하락해 전체 판매가 전년대비 23.7% 감소했다. 미국산 테슬라는 모델3의 본격적 투입에 힘입어 전년대비 1587.8% 성장하면서 상반기 전기승용차 점유율이 43.3%로 확대되었다. 전기승합차는 대부분의 제작사가 전
2020년 상반기 상용차 판매와 사업자 구매는 줄어들었으나 자동차판매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승합차와 화물차 등 상용차는 전년동기대비 11.9% 감소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급격한 경기위축으로 소상공인 등의 신차구매계획을지연시켰고 대면접촉 기피 현상으로 대중교통 관련 수요가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역이동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관광 수요가 크게 줄면서 버스 판매가 전년동기대비 24.4% 감소했다. 화물차의 경우 9.8% 감소 폭을 보였다. 승용차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10.7% 증가했으며 세단보다 SUV 비중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여행과 캠핑의 증가 등 레저활동 적합성때문으로 분석된다. 에너지원별로 보면 경유차의 감소가 눈에 띈다. 비중이 29.7%로 전년동기대비 9.8% 감소하였다. 반면 전기차의 경우 판매 비중이 9.6%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수입차판매는 15.8% 증가했다. 원산지별로미국산, 독일산, 중국산이 증가했고 불매운동 영향으로 일본산은크게 감소했다. 미국산은 테슬라 모델3의 효과였고 중국산은볼보와 전기차 위주로 판매가 늘어났다. KAMA 정만기 회장은“2020년상반기 국내 자동차 내수는 코로나
쌍용자동차가 올해 상반기 영업 적자 2,158억 원을 기록했으며 판매4만 9,419대, 매출이1조 3,563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복지 축소 및 인건비 감축 등 고정비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팬데믹에따른 수출 감소와 생산 차질이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지난 2월부터 코로나19의확산에 따른 해외부품 수급 차질로 인해 순환 휴업 실시 등 생산 차질이 지속되면서 판매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7%, 27.4% 감소했다. 자구 노력에 따른 인건비와 기타 고정비를 전년 대비 각각 19.5%,21.3% 감소시켰지만 매출 감소의 폭이 커서 영업 손실도 크게 늘어났다. 2분기 자산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비핵심 자산매각을 진행했지만 처분이익이 지난 1분기 수준에 그쳤다. 현재 쌍용자동차는 수출 부진 타개를 위해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출시 등 유럽 시장의 경제활동 재개에 선제적으로대응하고 있으며, 중국 송과모터스(SONGUO)와도 티볼리 KD 판매에 대한 기본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판매 물량 확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차 출시에 전력을 다해 하반기에 G4 렉스턴 부분변경 모델과 티볼리에어 재 출시 등 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초 국내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2020년 상반기 수입 상용차 신규 등록대수가 2,101대로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18.25%가 감소한 수치로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예측된다. 모든 브랜드의 상반기 판매량이 감소했다. 만(MAN)이 28% 감소로 폭이 가장 컸으며 수입 브랜드중 상반기 등록대수가 가장 많았던 볼보트럭(Volvo Trucks)도 854대가 등록되어 24.2%의 큰 감소 폭을 보였다. 6월 신규 등록된 차량 324대에서차종별 현황을 보면 트랙터(Tractor) 87대, 카고(Cargo) 23대, 밴(Van)1대, 버스(Bus) 4대, 덤프(Dump) 42대, 특장(BodyBuilder) 167대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5월 대비 등록대수가 5.9%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약간의 상승세를 보였다.
주요 제품 윙바디 현대자동차에 OEM으로 납품되는 주력 품목인 골드밴 초장축 윙바디는내측 길이 5,800mm의 경량 알루미늄 구조로 설계되었다.1100×1100mm 규격의 팔레트 10개를 적재할 수 있어 물류 효율성이 뛰어나다. 측면 게이트는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외관이 깔끔하며, 개폐 시 안정성을높였다. 또한, 측면 게이트가 갑작스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파워게이트를 장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윙바디는 적재와 하역이 반복되는 산업 현장에서 그 효율성과 편의성으로 각광받는 골드밴의 대표 상품이다. 우천, 폭염, 강풍 등외부환경에도 안정적으로 화물을 보호하고, 대형 사이드 개폐 구조를 통해 빠른 적재·하역이 가능하다. 냉동탑 현대자동차에 OEM 사양으로 납품되는 고품질 냉동 물류 특장차이다. 자체 개발한 초경량 샌드위치 패널을 적용하여 뛰어난 단열 성능을 확보하였으며,특히 냉기 유지력이 우수하여 장거리 운송 시에도 일정한 온도 유지가 가능하다. 차량에는 5톤급 고성능 메인 냉동기를 장착하였고, 대량 적재에 최적화된 광폭 섀시를 적용하여 적재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또한 팔레트 적재 기준으로 1100×1100mm 규격 팔레트 8개를 적재
첨단 특장차 생산 시대 2025년 6월 20일, 전라북도 완주군 아트테크노밸리 산업단지. 대한민국 특장차 산업의 선도기업 ㈜골드밴이 새로운 도약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날 열린 ‘스마트 전주공장 준공 기념식’에는 현대자동차 김승찬 전무, 완주군 주요 인사, 국회 관계자, 중소기업청 및 각계 인사들이 참석해 골드밴의 새로운출발을 함께 축하했다. 골드밴 김순석 대표이사는 환영사에서 “이번 전주공장은 단순한 생산거점을넘어, 스마트 제조의 표준과 친환경 미래차 생산을 실현하는 중심지로 성장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날 행사는 단순한 준공식이 아닌, 골드밴이 1999년 창립 이래 축적해온 기술력과 신뢰를 기반으로제조 산업의 고도화와 세계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는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스마트 공장의 주요 특징 전주공장은 전통적인 특장차 조립라인에 첨단 IT와 자동화 설비를 융합하여,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고효율 생산체계를 완비하였다. 특히 차량용 샌드위치 패널 가공부터 최종 조립, 품질검사까지 통합된 ‘End-to-End’ 프로세스를 구현해, 생산 품질의 일관성과 생산성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스마트 공장의 기술적 기반은 자동화 로봇 용접 시스템, 스마트 물류이송 체
월간 트럭특장차 2025년 7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책자에서 확인하세요.
월간 트럭특장차 2025년 7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책자에서 확인하세요.
월간 트럭특장차 2025년 7월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책자에서 확인하세요.
만트럭버스코리아(이하 ‘만트럭’)가 전국 영업 지점을 대상으로 세일즈 역량 강화 및 하반기 판매 확대를 위한‘세일즈 컨퍼런스 코리아 2025’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24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열렸으며, 전국 57명의 영업 담당자를 포함해 만트럭버스그룹임원, 만트럭버스코리아 본사 및 만파이낸셜서비스 임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세일즈, 마케팅, 만파이낸셜서비스, CSM 부서가 상반기 성과와 하반기 전략을 공유하며실행 방향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세일즈 컨퍼런스 코리아 2025는‘Act Today, Shape Tomorrow(오늘의 실행이 내일을 만든다)’라는 슬로건아래 상반기 실적 공유와 고객 가치 증진을 위한 영업인의 역량 향상, 그리고 만트럭의 하반기 전략을공유하는 발표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부서별 소그룹 세션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오가는 자리도 함께 마련됐다. 가장 먼저 연단에 오른 토마스 헤머리히 만트럭버스그룹 세일즈 인터내셔널 총괄 부사장은 “한국은 MAN에게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장 중 하나”라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통합 솔루션 제공을 확대하고, 만
GS글로벌이 BYD 1톤전기트럭 T4K 냉동탑차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경품 이벤트를 포함한 특별 프로모션 ‘Time 4 lucky’를 새롭게 선보인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T4K 냉동탑차 출고 고객에게 실질적인 구매 혜택은물론, 참여형 경품 이벤트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T4K 냉동탑차 구매 후 7월 1일부터 9월 30일 내 출고한 고객 전원에게는 충전 쿠폰 추첨 이벤트를 진행해혜택의 폭을 넓혔다. 행사 기간 동안 냉동탑차 구매 고객 중 추첨을 통해 1등(1명) 충전쿠폰 100만원권, 2등(3명) 50만원권, 3등(5명) 10만원권이 제공된다. 이외에도 당첨되지 않은 고객 전원에게는 참가상으로1만 원 상당의 충전 쿠폰이 지급되며 제세공과금은 전액 GS글로벌이 부담한다. 차량 구매 혜택 역시 지속된다. T4K 냉동탑차는 선착순 100대 한정으로 1,400만 원의 즉시 할인이 적용되며, 국고 및 지자체 보조금, 소상공인 추가 지원금, GS글로벌의 보조금 차액 지원 등을 모두 반영할 경우, 전국 평균약 2,800만 원 수준의 실구매가로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 이와 함께, GS글로벌 공식 홈페이지에서 상담 신청 후 실제 구매까지완료한 고
르노코리아(대표이사 스테판 드블레즈)가오는 8월 30일까지 여름철 수요가 높은 차량용품에 특별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여름맞이 특별 정비 할인 캠페인’을실시한다. 르노코리아는 ‘여름맞이 특별 정비 할인 캠페인’을 통해 여름철 필수 점검 항목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 고객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한편, 타이어 4본을 모두 교체하는 고객에게는 정비 할인 쿠폰을 지급할방침이다. 이번 캠페인 기간 동안 전국 약 400개 르노코리아 서비스 네트워크를방문한 고객은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 시 15%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My Renault(마이 르노)’ 앱 회원에게는 20%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또한,타이어 4본을 교체하는 고객에게는 행사 기간 종료 후 총10만 원 상당의 정비 할인 쿠폰을 마이 르노 앱을 통해 증정할 예정이다. 르노코리아 애프터세일즈담당 강진규 디렉터는 “많은 비와 함께 무더운날씨가 예상되는 만큼, 여름철 와이퍼 블레이드와 타이어는 필수적으로 점검을 해야 한다”며, “많은 고객분들을 위해 특별 정비 할인 혜택을 마련한 만큼, 편하게 르노코리아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타이어를 점검하고, 교체가필요한 경우 합리적인 비용으로 교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