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탑
우선 많은 자기인증을 통해서 고객니즈를 만족시키고 있다. 특히 하대
사이즈를 최대치로 제공하여 운송효율을 높이고 있다. 특장 작업시 제공되는 편의사항에 있어서 타사대비
월등히 우수하다. 또한 현재 시장에서 취급되는 냉동탑 대비 디자인적인 마감이 뛰어나고 단열 기능이 탁월하다. 단열은 수입형 단열고무를 사용하고 판넬 이음부를 용접한 후 판넬의 틈새에 우레탄 발포하여 냉기 손실을 최소화한다.
특징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을 바닥에 적용해서 부식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했다. 특히 적용된 3SUS305 재질은 부식방지뿐 아니라 보온효과까지
있다. 출입문은 GRP 재질로 제작하여 강력한 내구성을 자랑한다.
종류
더센 3.5톤 냉동탑, 볼보
냉동탑, 마이티 3.5톤 냉동탑, 이스즈 3.5톤 냉동탑 등을 제작하고 있다.
윙바디
현재 윙바디 제품은 전국적으로 상향 평준화가 되었다고 봐야한다. ㈜카이로스는
어떻게 차별화할까 고심하다 결국은 기본에 충실한 것이 최고라는 생각으로 접근했다. 화물차주들은 당연히
차량이 생업의 필수품이기 때문에 외관의 수려함이나 기본 기능은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A/S 발생률이
적어야 한다. 화물 운송에 오래 종사한 차주일수록 내구성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크로스멤버 부식, 기둥 파이프 하단과 대들보
크랙, 날개 모서리 주저앉음이다. 이는 꼼꼼하지 않은 용접과
크랙에 대비한 제작과정의 소홀한 보강 등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카이로스는 창립 후부터 윙바디에 대한 노하우를 쌓기 위해 다양한 특장회사의 윙바디 제품을 수리하면서 기초를
만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수리 차량이 입고되면 문제가 되는 부분을 수리하는 것뿐 아니라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 용접 등 추가 처리를 해서 고객이 같은 문제로 다시 방문하지 않도록 노력했다.
이를 바탕으로 신제품을 제작할 때도 작업 공정에 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되더라도 제품의 내구성을 결정짓는 보강
공정을 철저하게 진행하고 관리자가 QC도 꼼꼼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징
상하차 작업의 편리성을 갖춰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제품을 싣거나 내릴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적재나 하역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특히 밀폐성이
뛰어나 제품을 운송할 때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종류
맥센 윙바디, 스카니아 s460 윙바디, 스카니아 s560 윙바디, 이베코
X-way 윙바디 등이 있다.
냉장 원바디/냉동 컨테이너
냉동탑과 윙바디에서 쌓아온 기술력으로 냉장 원바디와 냉동 컨테이너 제품도 제작하고 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제품 비중이 서서히 올라가고 있으며 2025년에
냉동 컨테이너 등을 더 많이 제작할 수 있도록 시도하고 있다. 맥센 냉장 원바디, 파비스 냉장 원바디, 맥센 냉동 컨테이너, 볼보 FH500 냉동 컨테이너 등을 제작하여 출고한 경험이 있다.